길을걷다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기도 고양시)평화누리길,5코스(킨텍스길)8km[25-02-17[월] 걷기 : 호수공원(선인장전시관)~킨텍스~고양종 합운동장~가좌 근린공원~동패 지하차도4코스걷고 5코스 이어걷기 가보니 동패지하차도 근처가 심학산 근처였다동패지하차도에서 5코스 종료하고 갔던길을 되돌아와 버스를 타야한다 올때 : 가좌마을 2.3단지 후문 버스정류장에서 마을버스 057번 을 타고 주엽역하차주엽역 (3호선)~원흥역 대강 아는 길이지만 이 길을 걷는건 처음이다 호수공원 음악분수대 광장을 지나 멀리서도 눈에 들어오는 특이한 건물이 가까이 지나다보니 호텔이었다 킨텍스를 지나 고양종합운동장 앞 길을 지나간다 이곳에서 다리를 건너지않고 오른쪽길로 간다 나무들이 멋지다봄이되면 이 길을 다시한번 걸어봐야겠다~찜 이곳은 대화천이라고 한다 길 끝으로 나와보니 이곳이 일산 서부경찰서 앞이다 이제 한적한 길 가.. 더보기 경기도 고양시)평화누리길,4코스(행주나루길)11km [25-02-17[월] 걷기 : 행주산성(아래 주차장)~행주대교~원능친환경사업소~섬말다리~일산호수공원(선인장전시관)갈때 : 원흥역(3호선)~화정역 3.4번출구 안쪽길 가운데 정류장 011번~행주산성 정문하차 통일염원 바람개비바람개비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풍작을 기원하는 의미로정월대보름을 전후로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민속놀이 입니다고양누리길 통일염원 바람개비 구간은 전국 지방자치단체 243곳을 상징하는바람개비 243개가 자연의 순리대로 사이좋게 움직이고 있습니다자연의 흐름대로 회전하는 바람개비는 평화 통일을 바라는 국민 모두의 염원이며그 떠한 이념과 편협도 없는 순수한 동심을 상징합니다 행주선상(船上)3.1만세운동 유적지이곳은 일제 강점기인 1919년3월11일 당시 고양군 지도면 행주리 주민들이 만세운동을 벌인 곳이다주민들은 행주산.. 더보기 경기도 김포시)평화누리길,3코스(한강철책길)17km[25-02-13[목] 걷기 : 애기봉입구~마근포리 마을회관~연화사~석탄리 철새조망지~전류리포구 갈때 : 원흥역(3호선)~대곡역(서해선)~김포공항역(김포골드라인)~운양역~7번버스~애기봉입구하차 걷기[15분정도}전류리포구~7번버스~운양역(김포골드라인)~김포공항역(서해선)~대곡역(3호선)~원흥역 한재당~한재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무오사화 때 모함을 받아28세의 젊은 나이에 죽은 이목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사당은 남쪽을 향하고 있으며 입구의 홍살문과 외삼문 내삼문 사당인 정간사를 일렬로 배치한 구조이다이 사당 앞길 바로 밑에 있던 구사당(1848년 건립)은 맞배지붕 목조와가로 정면 3칸 측면2칸이며일주문과답장이 둘러 있었으나 현재는 담장만 남아있고신사당은 이목의 후손들에 의해 1974년 이곳에 다시 건립되었다사당에는 이목의 위패.. 더보기 경기도 김포시)평화누리길,2코스(조강철책길)8.0km[25-02-08[토] 걷기 : 문수산성 남문~홍예문~조강리~조강저수지~애기봉입구 갈때 : 원흥역(3호선)~대곡역(서해선~김포공항역(김포골드라인)~구래역 90번버스 성동검문소정류장 하차올때 : 애기봉입구 3-2번(주말운행)~운양역(김포골드라인)~김포공항역(서해선)~대곡역(3호선)~원흥역 강화대교가 바로 앞에 보인다 언제보아도 시원한 조망이 멋지다 설명 : 김포 문수산성 문수산성은 강화 갑곶진과 함께 염하(김포와 강화도 사이 해협) 를 통한 외세의 침입을 막고 한양 일대를 수호하기 위해 조선 숙종 20년(1694)에 쌓은 산성이다김포에서 가장 높은 산인 문수산에 있으며(해발 376m)전체 길이는 6.123m이다그 중 산등성이를 연결한 4.640m가 지금까지 남아 있으며 해안가의 1.483m는 없어졌다원래는 문루(성곽위에 세운 누.. 더보기 경기도 김포시)평화누리길,1코스(염하강철책길)14km[25-01-30[목] 평화누리길 :경기도 김포시~경기도 고양특례시~경기도 파주시~연천군 까지 12코스 ( 총 191km )이어걷는 길이다 걷기~대명항~덕포진~쇄암리 쉼터~고양리 쉼터~문수산성 남문대명항~함상공원지나~평화누리길 1길 시작점 10:30~15:50 갈때 : 원흥역(3호선)~대곡역(서해선)~김포공항역(김포 골드라인)~구래역60-3번 버스타고 대명항 종점하차올때 : 성동검문소 정류장에서 90번~구래역(김포 골드라인)~김포공항역(서해선)~대곡역(3호선)~원흥역 잠시 포구에 들러나온다 작품명~평화의 노래 작품명~바람을 타고 전경안내판~덕포진 돈대가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곳에서는 강화의 광성보 용두돈대가 조망된다각각 해안 안쪽으로 돌출된 지형인 덕포진돈대와 용두돈대 사이의 해엽은 뱃사공 손돌의 전설에서 유래하여손돌목.. 더보기 경기옛길을 마무리하고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원형을 밝혀 지역의 문화유산을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 문화탐방로입니다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었습니다이 중 경기도를 지나는 주요 도로망은 제1로인 의주로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경흥로,평해로,봉화로,영남로,삼남로,강화로가 있습니다조선시대 실학자 신결준이 집필한 역사 지리서 도로고(道路考) 와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大東地志) 를 기본으로역사적 고증과 현대적 재해석을 거쳐 지역의 문화유산을 경기옛길로 연결하였습니다경기옛길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민담,설화, 지명유래와 같은 스토리텔링이 곳곳에 녹아 있습니다그동안 점으로 산재되어 있던 문화유산을 선으로 연결하여 길을 걸으며역사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길 입니다 길은 총7개길 56구간..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9길,설성산길)16km[24-12-25[토] 설성면행정복지센터~성호저수지~설성상정상~이천선읍리석불입상~청미교사거리(경기도경계)스탬프 : 이천선읍리석불입상 앞 갈때: 원흥역06:32(3호선)~신사07:18?(신분당선)~판교07:50(경강선)~이천역25번(08:50)(설성면행정복지센터)하차 길건너올때: 감곡터미널~동서울(16:35)(9.500)~강변역(18:11)(2호선)~을지로3가역(3호선)원흥역 설성산 정상에서 느껴지는 여운역사 보장(保藏)의 길설성산은 산 정상에 '설성'(雪城)이라 불리는 성이 있어 설성산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설성' 은 신라가 성 쌓을 마땅한 곳을 물색하기 위해 이천 일대의 여러 산을 헤매다가 설성산에 와서 보니이상하게도 지금의 성이 쌓인 자리에만 돌아가며 띠를 두른 듯 흰 눈이 내려있어서눈의 자취를 따라 성을 쌓고..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8길,자채방앗길)20km[24-12-23[월] 부발역~한국기독교 역사박물관~무우정~성호호수연꽃단지~성호저수지~설성면 행정복지센터스탬프 : 무우정 정자입구,성호 호수연꽃단지 입구 갈때: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선)~판교역(경강선)~부발역올때 :설성면사무,금당리 버스 정류장 25-11번~이천역(경강선)~판교역(신분당선)~신사역(3호선)~원흥역 역대 조선왕조의 실록(實錄)과 왕실족보인 선원보(璿源譜)가 이운(移運)되던 길자채방앗길은 사계의 변화를 누릴 수 있는 결실의 길입니다이천시 중심을 가로지르는 복하천과 그 지류 일대의 모심기부터 벼가 황금빛으로 물들 때까지농부들이 흘리신 땀방울의 결실을 체험하는 길이기도 합니다특히 자채벼는 이천지방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었던 양질의 재래종 벼를 말하는데밥맛이 유별나게 좋기 때문에 임금의 수라상에 올리는.. 더보기 이전 1 2 3 4 5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