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을걷다

경기옛길)봉화길(제6길,골내근길)14km[24-11-30[토] 부발역~수정리마을회관~세종대왕릉역스탬프 : 수정리마을회관 앞 갈때 : 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선)~판교(경강선)~부발역올때 : 세종대왕릉역(경강선)~판교(신분당선)~신사(3호선)~원흥역 협궤열차,수려선(수원-여주)의 옛 흔적을 찾는 길골내근은 고구려 때 불렸던 여주의 최초 지명입니다이 일대는 남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벼농사 짓기에 최적의 지역이기도 합니다특히 1930년부터 1972년까지 수원에서 이천을 거쳐 여주는 잇는 수려선 협궤열차가 지나갔습니다일제강점기에는 이천과 여주 일대에서 생산되는 쌀을 인천항까지 운송하기 위해서였고해방 후에는 도민의 사연을 가득 담은 이동수단이었습니다지금은 그 흔적조차 찾기 힘들지만, 협궤열차의 흔적을 상상하며 걸어보시길 바랍니다  몇일전 내린눈이 아직 있을것같아 어쩌면 ..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5길.남천주길)16km[24-11-25[월] 신둔도예촌역~사기막골도예천~설봉산성~설봉공원~이천종합터미널~애련정~부발역스탬프  : 설봉공원 안내센터 앞 갈때 : 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선)~판교(경강선)~신둔도예촌역올때 : 부발역(경강선)판교(신분당선)~신사(3호선)~원흥역 이섭대천(利涉大川)의 이천, 삼국시대 격전장의 역사를 담은 길남천주길은 이천의 유래를 찾는 여정입니다삼국시대부터 이천 일대를 차지하려는 경쟁이 심했습니다우선 고구려 때 남천현(南川縣)이 되었으며568년에는 신라에서 남천주로 명명하고, 행정구역화 하였습니다고려 태조인 왕건은 후백제 군과 일전을 벌이기 위하여 지금의 복하천(福河川)에 이르렀을 때서목(徐穆)이라는 사람의 도움으로 천을 건널 수 있었습니다후백제와의 전쟁에서 승리 후 왕건은 ‘이섭대천(利涉大川)’이라는 글귀에서 내려..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4길.곤지바위길)11km[24-11-23[토] 곤지암역~봉현정~동원대학교~이천의병전적비~신둔도예촌역스탬프 : 곤지암:봉현정 정자옆,이천의병전적비갈때 : 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역)~판교역(경강선)~곤지암역올때 : 신둔도예촌역(경강선)~판교역(신분당선)~신사역(3호선)~원흥역곤지암에 깃든 이야기~역사의 위인을 찾아 가는길'곤지암' 의 어원은 옛날 이마을 뒷산 끝자락에 연못이 있는 곳에 바위가 있다고 하여뫼 곤(崑 ) 못 지(池) 바위 암(巖) 자를 써서 곤지암이라고 유래되었다고 합니다이 일대는 조선시대로부터 교통의 요충지였습니다이곳을 거쳐가는 사람들로 가득했고 이 때문에 곤지암 주막촌과 5일장이 유명했습니다광주에서 곤지암까지 가기 위해서는 대쌍령과 소쌍령이라 불리는두 개의 고개를 넘어야 하는데 신립장군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옵니다신립장군의 혼이 .. 더보기
경기옛길)강화길(제3길,운양나룻길)15km[24-11-20[수] 운양역4출구~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용화사~하동천생태공원~통진성당스탬프 : 김포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 ' 하동천생태공원 갈때:원흥역[3호선]~대곡역[서해선]~김포공항역[골드라인]~운양역올때~통진성당[90번]~구래역[골드라인]~김포공항역[서해선]~대곡역[3호선~원흥역 설명)김포의 옛 포구와 나루 한강 물길을 추억하는 길강화로는 한강 수로를 따라 많은 나루와 포구가 있었습니다한강 수로는 조선에 있어 한양으로 드어가는 물류유통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담당했던 길이었기 때문에 나루와 장시가 번성했습니다한강 수로는 수심이 얕아서 평저선으로 미곡을 옮긴 후 마포까지 이동했기 때문에삼남지역에서 올라오는 미곡은 김포의 수많은 나루터에 집결하였습니다김포의 나루는 사람과 물류 문화가 모이는 곳이었습니다물론 지금은 그 옛 모습의 자취..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3길,너른고을길)15km[24-11-18[월] 제3길 걷기 : 경기광주역~청석공원~국수봉~초월역~곤지암역스탬프 : 국수봉 입구갈때 : 원흥(3호선)~신사(신분당선)~판교역(경강선)~경기광주역올때 : 곤지암역(경강선)~판교역(신분당선)~신사(3호선)~원흥역 1000년을 이어온 광주(廣州)의 세월을 느껴보는 길광주는 940년(고려 태조 23)에 광주(廣州)라는 지명을 쓰기 시작해 1000년을 넘게 써온 지역입니다넓을 광(廣)을 쓸 만큼 드넓은 지역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수원으로 편입된 일부 면과서울 강남 및 강동구 남양주 일부 지금의 의왕과 군포 성남 하남 일대가 모두 광주였습니다이렇듯 넓고 광활한 지역이라는 뜻으로 너른고을 이라 하였습니다국수봉 정상에서 광주의 드넓음을 느끼고 곤지암천에서 세월 속에 간직된 나의 의미를 찾아보길 바랍니다  우리는 이..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2길,한양삼십리길)19km[24-11-16[토] 남한산성 로터리~검복리새마을회관~히든카페~목현1동마을회관~청석공원~경기광주역스탬프 : 새오개입구 황소상 조형물 옆 갈때:원흥역[3호선]`을지로3가역[2호선]~잠실역[모란행~산성역2출구`9-1번 버스 종점하차올때 : 경기광주역[경강선]~판교역[신분당선]~신사역[3호선]~원흥역  설명)선비들이 한양으로 과거를 보기 위해 걸었던 길한양삼십리누리길은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를 널이 알리고자 조성된 숲길입니다목현동에서 남한산성면 산성리를 잇는 12km의 등반코스로 선비들이 과거시험을 보기위해 넘었던 옛길입니다합격바위와 세오고개의 돌무덤은 선비들의 염원이 담겨있는 공간이기도 합니다목현1동 마을회관 이정표를 따라 검복리,산성리,불당리,오전리를 지나목현동에 이르게 되는 구간은 옛길의 정취를 물씬 느낄 수 있는 곳이기도 .. 더보기
경기옛길)강화길(제2길,금릉옛길)12Km[24-11-13[수] 풍무역 2번출구(새장터공원)~김포장릉~김포향교~걸포중앙공원~김포아트빌리지~운양역(4번출구)스탬프 : 김포장릉 ' 김포아트빌리지갈때:원흥역[3호선]~대곡역[서해선]~김포공항[골드라인]~풍무역올때:풍무역~김포공항역~대곡역~원흥역 설명)김포의 원류를 찾아가는김포의 지명은 고구려 장수왕(475년)때 ‘신성한 포구마을’이라는 의미로 검포 (黔浦)라고 불렸습니다이후 통일신라 경덕왕은 757년 행정구역을 개편하며 흔히 사용하지 않고어려운 한자인 ‘검(黔)’보다 일반적이고 좋은 의미의 한자인 ‘금(金)’이 쓰이면서지금의 김포(金浦)가 되었습니다다른 지명으로 금릉(金陵) 으로도 불리기도 하였는데,금릉은 김포의 대표 문화유산인 김포장릉과 김포의 500년 중심지였던 관아가 있었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김포장릉과 김포향교의 옛.. 더보기
경기옛길)평해길(제9길,구둔고갯길)16km[24-11-11[월] 일신역에서 내려 걷기 10분 ~구둔역~쌍학리 임도~매월교~양동역스탬프 : 구둔역 입구 (평해길 제9길을 마지막으로 1길~10길  총130km 걷기 완주)갈때 : 원흥역~종로3가역~청량리역~일신역올때 : 양동역~청량리역~종로3가역~원흥역설명)옛사랑의 추억과 폐철로를 걷는 낮선 경험의 길구둔역은 일제 강점기 건축물의 원형을 간직한 역사와 함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풍경이 이색적입니다2012년에 개봉한 영화와 아이유의 음반 촬영지로 연인들이 많이 들르는 곳입니다특히 두 작품 모두 옛사랑이 소재인데 오래된 철길은 누구에게나 옛사랑의 그리움과 맞닿아 있는 것 같습니다옛사랑을 그리며 덜컹이는 기차에 기대여 한장의 편지에 꿈을 실었던 그곳 그길을 옛추억과 걸어보시길 바람니다 등록문화유산) 구둔역  옛사랑 추억의 공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