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걷다/경기옛길[봉화길]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기옛길을 마무리하고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원형을 밝혀 지역의 문화유산을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 문화탐방로입니다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었습니다이 중 경기도를 지나는 주요 도로망은 제1로인 의주로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경흥로,평해로,봉화로,영남로,삼남로,강화로가 있습니다조선시대 실학자 신결준이 집필한 역사 지리서 도로고(道路考) 와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大東地志) 를 기본으로역사적 고증과 현대적 재해석을 거쳐 지역의 문화유산을 경기옛길로 연결하였습니다경기옛길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민담,설화, 지명유래와 같은 스토리텔링이 곳곳에 녹아 있습니다그동안 점으로 산재되어 있던 문화유산을 선으로 연결하여 길을 걸으며역사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길 입니다 길은 총7개길 56구간..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9길,설성산길)16km[24-12-25[토] 설성면행정복지센터~성호저수지~설성상정상~이천선읍리석불입상~청미교사거리(경기도경계)스탬프 : 이천선읍리석불입상 앞 갈때: 원흥역06:32(3호선)~신사07:18?(신분당선)~판교07:50(경강선)~이천역25번(08:50)(설성면행정복지센터)하차 길건너올때: 감곡터미널~동서울(16:35)(9.500)~강변역(18:11)(2호선)~을지로3가역(3호선)원흥역 설성산 정상에서 느껴지는 여운역사 보장(保藏)의 길설성산은 산 정상에 '설성'(雪城)이라 불리는 성이 있어 설성산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설성' 은 신라가 성 쌓을 마땅한 곳을 물색하기 위해 이천 일대의 여러 산을 헤매다가 설성산에 와서 보니이상하게도 지금의 성이 쌓인 자리에만 돌아가며 띠를 두른 듯 흰 눈이 내려있어서눈의 자취를 따라 성을 쌓고..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8길,자채방앗길)20km[24-12-23[월] 부발역~한국기독교 역사박물관~무우정~성호호수연꽃단지~성호저수지~설성면 행정복지센터스탬프 : 무우정 정자입구,성호 호수연꽃단지 입구 갈때: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선)~판교역(경강선)~부발역올때 :설성면사무,금당리 버스 정류장 25-11번~이천역(경강선)~판교역(신분당선)~신사역(3호선)~원흥역 역대 조선왕조의 실록(實錄)과 왕실족보인 선원보(璿源譜)가 이운(移運)되던 길자채방앗길은 사계의 변화를 누릴 수 있는 결실의 길입니다이천시 중심을 가로지르는 복하천과 그 지류 일대의 모심기부터 벼가 황금빛으로 물들 때까지농부들이 흘리신 땀방울의 결실을 체험하는 길이기도 합니다특히 자채벼는 이천지방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었던 양질의 재래종 벼를 말하는데밥맛이 유별나게 좋기 때문에 임금의 수라상에 올리는..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7길,세종효종길)11km[24-12-16[월] 세종대왕릉역~이인손묘~세종대왕기념관~세종산림욕장~대로사~한글시장~여주향교~여주역스탬프 : 세종산림욕장 입구갈때 : 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선)~판교역(경강선)~세종대왕릉역올때 : 여주역(경강선)~판교역(신분당선)~신사역(3호선)~원흥역 영릉(寧陵)을 참배하기 위해 임금이 걸었던 거둥길거둥길은 왕이 선대왕의 능에서 제사를 주관하기 위해 오가던 능행길을 말합니다여주에는 조선의 제4대 임금 세종대왕의 영릉(英陵)과 제17대 효종대왕의 영릉(寧陵)이 있습니다세종대왕이 후손에게 남긴 훌륭한 업적들과 그 업적의 바탕이 된 애민정신을 되새겨 볼 수 있습니다또한 효종대왕의 북벌에 대한 의지를 느껴볼 수 있는 구간입니다효종대왕을 참배하기 위해 수많은 임금이 걸었던 길을 생각하며 걸어보시길 바랍니다 이인손의 묘에 얽..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1길,덕풍천길)13km[24-12-03[화] 남한산성로터리~남한산성북문~광주향교~하남시청~당정뜰~하남검단산역 스탬프 : 광주향교,은방울공원 원흥역(3호선)~을지로3가역(2호선)~잠실역(8호선)~산성역~2번출구에서 버스이용 남한산성올때 : 하남검단산역(5호선)~종로3가역(3호선)~원흥역 경기옛길 문화체험 행사에서 여러 참가자들과 공현관람후봉화길 제1길을 걷는다 11월28일 일정이었는데눈이 많이내려 안전문제로 12월3일에 걸었다지난번2길에 이어 오늘 두번째 행사에 참석했다 강연은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님과 성악가 황주석,김승리님 강연과 함께 중간 중간에 따라부른 동요는 동심으로 돌아가기에 충분했다 여러종류의 선물도 받고 행사후 김밥까지 나누어 받고 나는 3조에서 걸었다 역대 조선왕조의 실록(實錄)과 왕실족보인 선원보(璿源譜)가 이운(移運)되던 길..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6길,골내근길)14km[24-11-30[토] 부발역~수정리마을회관~세종대왕릉역스탬프 : 수정리마을회관 앞 갈때 : 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선)~판교(경강선)~부발역올때 : 세종대왕릉역(경강선)~판교(신분당선)~신사(3호선)~원흥역 협궤열차,수려선(수원-여주)의 옛 흔적을 찾는 길골내근은 고구려 때 불렸던 여주의 최초 지명입니다이 일대는 남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벼농사 짓기에 최적의 지역이기도 합니다특히 1930년부터 1972년까지 수원에서 이천을 거쳐 여주는 잇는 수려선 협궤열차가 지나갔습니다일제강점기에는 이천과 여주 일대에서 생산되는 쌀을 인천항까지 운송하기 위해서였고해방 후에는 도민의 사연을 가득 담은 이동수단이었습니다지금은 그 흔적조차 찾기 힘들지만, 협궤열차의 흔적을 상상하며 걸어보시길 바랍니다 몇일전 내린눈이 아직 있을것같아 어쩌면 ..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5길.남천주길)16km[24-11-25[월] 신둔도예촌역~사기막골도예천~설봉산성~설봉공원~이천종합터미널~애련정~부발역스탬프 : 설봉공원 안내센터 앞 갈때 : 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선)~판교(경강선)~신둔도예촌역올때 : 부발역(경강선)판교(신분당선)~신사(3호선)~원흥역 이섭대천(利涉大川)의 이천, 삼국시대 격전장의 역사를 담은 길남천주길은 이천의 유래를 찾는 여정입니다삼국시대부터 이천 일대를 차지하려는 경쟁이 심했습니다우선 고구려 때 남천현(南川縣)이 되었으며568년에는 신라에서 남천주로 명명하고, 행정구역화 하였습니다고려 태조인 왕건은 후백제 군과 일전을 벌이기 위하여 지금의 복하천(福河川)에 이르렀을 때서목(徐穆)이라는 사람의 도움으로 천을 건널 수 있었습니다후백제와의 전쟁에서 승리 후 왕건은 ‘이섭대천(利涉大川)’이라는 글귀에서 내려.. 더보기 경기옛길)봉화길(제4길.곤지바위길)11km[24-11-23[토] 곤지암역~봉현정~동원대학교~이천의병전적비~신둔도예촌역스탬프 : 곤지암:봉현정 정자옆,이천의병전적비갈때 : 원흥역(3호선)~신사역(신분당역)~판교역(경강선)~곤지암역올때 : 신둔도예촌역(경강선)~판교역(신분당선)~신사역(3호선)~원흥역곤지암에 깃든 이야기~역사의 위인을 찾아 가는길'곤지암' 의 어원은 옛날 이마을 뒷산 끝자락에 연못이 있는 곳에 바위가 있다고 하여뫼 곤(崑 ) 못 지(池) 바위 암(巖) 자를 써서 곤지암이라고 유래되었다고 합니다이 일대는 조선시대로부터 교통의 요충지였습니다이곳을 거쳐가는 사람들로 가득했고 이 때문에 곤지암 주막촌과 5일장이 유명했습니다광주에서 곤지암까지 가기 위해서는 대쌍령과 소쌍령이라 불리는두 개의 고개를 넘어야 하는데 신립장군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옵니다신립장군의 혼이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