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초지진
초지진은 조선 후기 서해안으로 침입하는 적을 막기 위해 만든 여러 요새 중의 하나이다
병자호란 이후 수비 체제가 강화도 중심으로 개편되면서 경기 서남부 해안의 진(군대가주둔하는곳)
들이 강화도 일대로 옮겨왔다
초지진도 경기도 안산에 있던 수군 기지를 효종 7년 에 이곳으로 옮겨 설치한 것에서 유래했다
강화지역은 1870년대 통상을 요구하며 침략한 열강들과 싸웠던 곳이다
특히 초지진은 고종 8년[1871]신미양요 때 전력의 연세로 미군에게 점령을 당하면서 대부분의 시설물이 파괴되었고
고종 12년[1875]운요호 사건 때에는 상륙을 시도하는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고종 13년[1876]에 조일 수호 조규[강화도조약]가 체결되었으며
이후 우리나라는 주권 상실의 시련을 겪게 되었다
초지진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허물어져 성벽의 기초만 남았다
이후 1970년대에 이곳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대포를 진시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초지진 옆 소나무에는 1870년대 전투 중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포탄의 흔적이 남아 있다
![]() |
![]() |
강화 용진진
용진진은 군대가 주둔하던 군사 시설로서 조선 효종 7년에 쌓았다
원래 병마만호 1명 군관 24명 사병 59명 돈군 18명 도합 102명의 병력이 주둔하였하였으며
가리산 좌강 용당 등 3개의 돈대를 관리하였다
포를 놓는 자리인 포좌 4문 총을 놓는 자리인 총좌 26개소의 시설물이 있었으나
석축 대부분은 남아 있지 않다
출입구였던 홍예문 두 곳만 남아 있었는데 1999년 그 위로 새로이 누각을 세워 복원하였다
좌측 홍예의 높이는 2.57m 폭은 4.15m 두께는 60~61cm 우측 홍예의 높이는 2.14m 폭은 4.80m
두께는 50~60cm 규모이다
![]() |
![]() |
![]() |
![]() |
![]() |
![]() |
![]() |
![]() |
![]() |
![]() |
![]() |
강화 광성돈대
광성보는 덕진진,초지진,용해진,문수산성 등과 더불어 강화해협을 지키는 중요한 요새이다
고려가 몽고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로 도읍을 옮기면서 1233년부터 1270년까지
강화외성을 쌓았는데 이 성은 흙과 돌을 섞어서 쌓은 성으로 바다길을 따라 길게 만들어졌다
광해군 때 다시고쳐 쌓은 후 효종9년(1658)에 광성보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숙종 때 일부를 돌로 고쳐서 쌓았으며
용두돈대 오두돈대 화도돈대 광성돈대 등 소속 돈대가 만들어 졌다
영조 21년(1745)에 성을 고쳐 쌓으면서 성문을 만들었는데 안해루 라 하였다
이곳은 1871년의 신미요양 때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용감히 싸우다가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으며
문의 누각과 성위에 낮게 쌓은 담이 파괴되었다
1976년 다시 복원하였으며 광성보 경내에는 신미양요 때 순국한 어재연 장군의 쌍충비와
신미순의총 및 전적지를 수리하고 세운 강화전적지 수리한 것을 기록한 비석 등이 건립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용흥궁
![]() |
![]() |
![]() |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 |
![]() |
![]() |
![]() |
![]() |
![]() |
초지진근처 식당에서 점심
![]() |
![]() |
풍산역 근처 꼬막 비빔밥 저녁
![]() |
'발길 닿는곳 >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포구 상암동)첫눈 내리는날 하늘공원 산책[24-11-27[수] (0) | 2024.11.27 |
---|---|
서울 용산구)거울못 식당[24-11-17[일] (0) | 2024.11.17 |
북한산)백운대 산행 [24-11-05[화 ] (0) | 2024.11.05 |
경기도 파주시)율곡수목원&율곡습지&통일전망대 드라이브[24-10-30[수] (0) | 2024.10.30 |
인천 서구)드림파크야생화 단지[드림파매립지]24-10-24[목] (0) | 2024.10.24 |